MAP

Il Papa in Piazza S.Pietro per messa Pentecoste con i Movimenti Il Papa in Piazza S.Pietro per messa Pentecoste con i Movimenti  (ANSA)

[주일 삼종기도] “성령님, 화해의 길 열어주시고 세상 지도자들을 깨우쳐 주소서”

레오 14세 교황은 6월 8일 성령 강림 대축일 삼종기도에서 평화의 은총을 간절히 청했다. “오직 평화로운 마음만이 가정과 사회, 그리고 국제관계에 참된 평화를 퍼뜨릴 수 있습니다.” 교황은 세상의 지도자들이 “긴장 완화와 대화를 위한 용기 있는 행동”에 나서도록 간구했다. 이어 젊은이들과 모든 학생, 그리고 교수들, “특히 며칠 후 학업 과정을 마무리하기 위해 졸업 시험을 앞둔 학생들”에게 격려의 마음을 보냈다.

성령 강림 대축일 미사를 마치며 바치는 삼종기도

레오 14세 교황

2025년 6월 8일 주일, 성 베드로 광장

 

이 미사를 마무리하기에 앞서,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과 미디어를 통해 함께 기도해 주시는 여러분 모두에게 진심 어린 인사를 드립니다.

이 자리를 빛내주신 추기경님들과 주교님들, 그리고 각종 단체와 교회 운동, 신설 공동체의 모든 대표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성령의 권능으로 이번 희년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 힘차게 나아가십시오. 가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희망을 온 세상에 전하십시오!

이탈리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한 해의 학업 여정이 마무리되는 이때, 젊은이들과 모든 학생, 그리고 교수님들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특히 며칠 후 학업 과정을 마무리하기 위해 졸업 시험을 앞둔 학생들에게 격려의 마음을 보냅니다.

이제, 동정 마리아의 전구를 통해 성령께 평화의 은총을 청합시다. 무엇보다도 마음의 평화를 구합시다. 오직 평화로운 마음만이 가정과 사회, 그리고 국제관계에 참된 평화를 퍼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성령께서 전쟁으로 고통받는 모든 곳에 화해의 길을 열어 주시기를 빕니다. 또한 세상의 지도자들에게 하느님의 빛을 비춰 주시어, 긴장 완화와 대화를 위한 용기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번역 이정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고, 임의 편집/변형하지 마십시오)
 

09 6월 2025, 12:59

부활 삼종기도란 무엇인가?

부활 삼종기도(라틴어 Regina Coeli, 혹은 Regina Caeli 레지나 첼리)는 4개의 성모 찬송가 중 하나다. 나머지 3개의 성모 찬송가는 ‘구세주의 거룩하신 어머니(라틴어 Alma Redemptoris Mater 알마 레뎀토리스 마테르)’, ‘하늘의 모후님 기뻐하소서(라틴어 Ave Regina Coelorum 아베 레지나 첼로룸)’, ‘모후이시며(라틴어 Salve Regina 살베 레지나)’다. 

부활 삼종기도는 지난 1742년 베네딕토 14세 교황이 삼종기도(라틴어 Angelus 안젤루스) 대신 주님 부활 대축일부터 성령 강림 대축일까지의 부활 시기 동안 죽음에 승리한 표징으로 일어서서 바치게 했다. 

부활 삼종기도 역시 삼종기도처럼 하루에 세 번 바쳤다. 아침, 정오, 저녁 시간에 하루의 시간을 하느님과 성모님께 봉헌하기 위해서 바쳤다. 

독실한 전통에 따르면, 이 오래된 찬송가는 6세기 혹은 10세기에 생겨났다. 그러다 18세기 중반 프란치스코회 성무일도서에 삽입되면서 일반적인 신심으로 널리 알려져 자리잡았다. 4개의 짧은 계응시구로 이뤄져 있으며, 각자 알렐루야로 마무리된다. 이 기도는 신자들이 마리아와 함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뻐하기 위해 하늘의 모후이신 마리아께 드리는 기도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2015년 부활절 다음날인 4월 6일에 부활 삼종기도를 바치면서 이 기도를 바칠 때 가져야 할 마음의 상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권고했다. 

“ (…) 마리아께 기뻐하라고 초대하면서 그분께 기도합시다. 왜냐하면 자신의 태중에 모시던 분께서 약속한 대로 살아 나셨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성모님의 전구에 맡겨드립시다. 사실, 우리의 기쁨은 마리아의 기쁨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분께서 예수님의 사건들을 지키셨고, 또 소중히 여기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 기도를, 어머니가 기쁘시기 때문에 기뻐하는 자녀들의 벅찬 감정으로 바치도록 합시다.”

최근의 삼종기도와 부활 삼종기도

모두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