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31일, 바티칸 정원에서 묵주기도 후 행하신 교황성하 연설
2025년 5월 31일, 바티칸 정원에서 묵주기도 후 행하신 교황성하 연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5월을 마감하는 이 저녁기도회에 기쁜 마음으로 여러분과 함께합니다.
단순하고 신심깊은 방법으로 마리아의 모성적 보호 아래 우리가 모이는 것은 신앙의 행동입니다. 올해는 우리가 거행하고 있는 희년의 중요한 몇 가지 측면들을 상기시켜줍니다. 다시 말해서 찬미, 여정, 희망, 특별히 공동체적으로 숙고되고 표현된 신앙 이런 몇 가지 중요한 측면들을 상기시켜준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다함께 묵주기도를 바쳤습니다. 묵주기도는,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이 강조하셨듯이, 마리아적인 특징과 그리스도의 마음을 지닌 기도입니다.
이 기도는 “ 복음서 전체의 깊이 있는 메시지를 그 자체 안에 함축하고 있습니다.”(교황교서, 동정 마리아의 묵주기도, 2002년 10월 16일, 1항).
실제로 여러분은 걸으면서 묵주기도를 받치는 동안 환희의 신비를 묵상하면서 예수님 생애의 많은 장소들 속으로, 마치 순례자들처럼 들어가 머물렀습니다: 나자렛의 집에서 성모님의 수태고지를, 즈가리야의 집에서 성모님의 방문을, -오늘 우리가 거행하는 것처럼- 베들레헴의 동굴에서 성탄을,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수님의 봉헌과 되찾음을 묵상했습니다.
여러분은 신앙으로 성모송을 외우면서 하느님의 어머니께 드린 천사의 인사말을 반복하여 바쳤습니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 (루카 1,28). 그리고 여러분은 엘리사벳이 기쁘게 성모님을 맞이하는 말씀을 바쳤습니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루카 1,42).
여러분의 발걸음은 하느님의 말씀에 리듬을 맞추며 진행되었습니다. 이 하느님의 말씀은 고유한 리듬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을 향하여 걸어가던 것과 같이 출발부터 그 멈춤, 진행을 표시했습니다.
이제 우리 모두 오늘 저녁 했던 것처럼 마리아와 함께 걸어가야 하는 예수님을 따르는 여정으로서 우리 존재를 바라봅시다.
그리고 우리 모두 매일 불협화음을 피하면서 “삶과 일치하는 혀로써 그리고 양심과 일치하는 입술로써”(성 아우구스티노, 설교 256, 1), “생명과 혀로써, 마음과 입술로써, 목소리와 행동으로써 ” 주님께 찬미를 드릴 수 있도록 기도합시다.(성 아우구스티노, 설교 256, 1)
참석하신 추기경님들, 주교님들, 사제들, 성직자 여러분, 그리고 모든 신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특히, ‘교회의 어머니’ 수도원의 베네딕토회 수녀님들께 깊은 애정과 감사를 표현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항구하게 바치는 기도는 우리 공동체와 일을 지탱시켜줍니다.
이 순간의 기쁨이 “우리의 개인적이며 가정적인 생활과 모든 환경, 특히 보편교회에 봉사하는 이 곳 바티칸에 있는 이 가족의 생활에서”(베네딕토 16세, 5월 결론, 2012년 5월 31일), 그리고 우리 안에서 지속하여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시고 항상 동반해 주시며, 마리아께서 우리를 위해 전구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번역 한영만 신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고, 임의 편집/변형하지 마십시오)